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트피스 전술의 과학 (블로킹, 공간 창출, 타이밍 조절 기법)

by gofindinfo 2025. 7. 14.

축구를 보다 보면 세트피스 상황에서 갑자기 선수가 무리 속에서 빠져나와 혼자 헤딩하거나, 아무도 막지 못한 채 골대 앞에 서 있는 걸 목격할 때가 있습니다. "어? 왜 저렇게 비었지?"라고 생각한 적이 있다면, 이미 세트피스 전술의 핵심을 마주한 겁니다. 세트피스는 단순히 '킥을 잘 차는 선수'만이 중요한 게 아니라, 그 안에 숨어 있는 블로킹, 공간 창출, 타이밍 조절이라는 과학적인 움직임이 만들어내는 결과입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실제 경기를 보면서 느꼈던 궁금증과 관전 포인트 중심으로, 세트피스 전술을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블로킹: 골 넣는 선수가 아니라 도와주는 선수가 있다

어느 날, 프리미어리그 경기를 보던 중 이상한 장면을 발견했습니다. 코너킥 상황에서 수비수가 아닌 공격수가 먼저 상대 선수에게 몸을 부딪히더니, 그 뒤를 따라 들어오던 다른 선수가 완전히 자유롭게 헤딩을 하는 겁니다. 처음엔 반칙 아닌가 싶었지만, 이게 바로 블로킹이었습니다. 블로킹은 농구에서 많이 쓰이는 개념이지만, 축구에서도 점점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 골을 넣을 선수를 위한 스크린을 설정해 마크맨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몸을 가로막음 - 두세 명이 뭉쳐 있다가 갑자기 퍼지면서 수비 조직을 흐트러뜨림 - 빠른 움직임보다 먼저 움직이며 공간 선점을 유도 이걸 알고 보면, 다음 경기에서 코너킥 상황에서 누가 움직이는지, 누가 '가만히 있는 척하다가' 방향을 바꾸는지 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골 넣은 선수보다 그 길을 만들어준 선수에게 박수를 치게 되죠.

공간 창출: '빈 공간'은 자연스럽게 생기지 않는다

경기를 보다 보면 갑자기 박스 안에 아무도 없는 공간이 생기고, 거기로 정확히 패스나 헤딩이 이어지는 걸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손흥민 선수의 프리킥 상황이나 EPL 코너킥 리플레이에서 이런 장면이 많죠. 이건 우연이 아닙니다. 공간 창출은 미리 계획된 움직임과 타이밍 조절로 만들어집니다. 예를 들어, - 두 선수가 같은 방향으로 뛰는 척하다가 한 명이 갑자기 멈추면, 상대 수비는 순간적으로 갈팡질팡 - 반대편에서 들어오던 선수가 무주공산이 된 공간을 가로지르며 들어옴 - ‘헛움직임’으로 수비를 끌고 가는 역할을 맡은 선수가 존재함 이걸 관전할 때 포인트는, 공이 향하는 쪽만 보지 말고, 그 반대편에서 어떤 움직임이 있었는가입니다. 세트피스에서 진짜 전술은 공을 차는 시점보다 그 직전 몇 초 동안의 움직임에 담겨 있습니다.

타이밍 조절: 빠른 것보다 정확한 순간이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세트피스에서 '누가 빨리 뛰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언제 뛰느냐'가 훨씬 중요합니다. 실제로 프로 경기에서는 0.5초 빠르거나 늦으면 상대 수비의 품에 안기게 되기 때문입니다. 관전 중 이런 점에 주목해 보세요: - 코너킥 상황에서 킥이 차이기 전에 먼저 뛰는 선수 vs 킥이 발에 맞는 순간 움직이는 선수 - 세 명이 동시에 움직이다가 한 명만 딜레이를 두고 달리면, 대부분 그 선수가 프리 상태가 됨 - 킥커와의 눈빛 교환, 손 제스처 등을 통해 호흡 맞춘 루틴 여부를 체크 특히 브라이튼이나 브렌트포드 같은 팀은 세트피스에서 명확한 타이밍 루틴이 있어서, 경기 몇 개만 보면 반복되는 패턴을 캐치할 수 있습니다. 팬 입장에서 이걸 눈치채는 순간, 경기 관전이 훨씬 재미있어지죠.

세트피스는 단순한 킥 한 번이 아닙니다. 블로킹으로 길을 만들고, 미리 계산된 움직임으로 공간을 창출하며, 완벽한 타이밍으로 상대의 조직을 뚫는 종합 전술 패키지입니다. 경기를 볼 때 '누가 골을 넣었는가'가 아니라 '그 골이 왜 가능했는가'를 생각하면, 축구는 더 이상 수동적인 관람이 아닌, 읽는 스포츠가 됩니다. 다음번 코너킥 상황이 오면, 골문보다 선수들의 발과 눈을 먼저 주목해 보세요.